로고

SNUH MMNC
로그인 회원가입
  • 마모셋모델 연구진
  • 연구진소개
  • 마모셋모델 연구진

   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.

    • 실험동물의학 강병철 교수 실험동물의학 강병철 교수 마모셋 Resource 확립 및 바이오 의약품 독성연구

      연구분야 - Establishment of breeding colony and artificial rearing method of Common marmoset
      - Build a resource of SCID marmoset monkey models for nonclinical study with biopharmaceuticals
      - Artificial reproductive techniques and biobanking of Common marmoset
    • 산부인과학교실 구승엽 교수 산부인과학교실 구승엽 교수 불임증 치료 연구
      연구분야 난임 포함 생식의학, reproductive engineering, FRT animal model, 생식 및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분화 및 치료 적용
      현재 연구분야를
      선택한 이유
      기존 난임 치료 한계 극복을 통한 차세대 난임 치료법 개발
      향후 연구계획 - 영장류 자궁내막 손상 모델 확립을 통한 자궁인자 난임 치료법 개발
      - 조직공학 기반 난임 치료법 확립
    • 신경외과학교실 백선하 교수 신경외과학교실 백선하 교수 퇴행성 뇌질환 모델 개발

      연구분야 Neurodegenerative Disease (Parkinson`s Disease)
      현재 연구분야를
      선택한 이유
      마모셋모델 동물 모델은 치매,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에서 관찰되는 여러가지 임상 증상들이 잘 표현되고 그 치료에 따른 변화를 잘 관찰할 수 있는 적절한 동물모델로 판단되어 이를 이용한 퇴행성 뇌질환의 기전연구와 조기진단,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하여 선택
      향후 연구계획 - 현재 파킨슨 환자에서 실시되는 Deep Brain Stimulation 치료법의 기전 이해를 통한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에서의 적용 가능성 검증
      - 파킨슨의 다양한 치료법 접근
      - 파킨슨 이외의 퇴행성 뇌질환 모델 개발
    • 안과학교실 의학과 김정훈 교수 안과학교실 의학과 김정훈 교수 안질환 모델 개발

      연구분야 - ETranslational research on vision threatening eye diseases: Retinopathy of prematurity, diabetic retinopathy, age-related macular degeneration
      - Tumor biology in retinoblastoma
      - Drug development for vision threatening eye diseases: small molecule, peptide, antibody, RNA therapeutics, gene therapy, genome editing, cell therapy
    • 영상의학교실 김현진 교수 영상의학교실 김현진 교수 대사질환 모델 및 MR 기법 개발
      연구분야 각종 대사질환 동물모델에서 비침습적 바이오마커 발굴을 위한 자기공명분광(MRS) 및 자기공명영상(MRI) 기술 개발
      현재 연구분야를
      선택한 이유
      전임상 단계에서 의료영상기술의 정밀 성능 평가
      향후 연구계획 개발 기술의 임상 적용
    • 핵의학교실 이호영 교수 핵의학교실 이호영 교수 종양 모델 및 PET 기법 개발

      연구분야 생체분자영상을 이용하여 실험동물에서 부터 임상으로 연결되는 분자영상을 이용한 질병의 원인, 신약 개발 등의 연구를 수행 중
      현재 연구분야를
      선택한 이유
      마생체 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생리학적 생화학적 현상에 대한 이해가 과학적으로도 임상적으로도 중요한 정보라고 생각했습니다. 또한, 이러한 현상들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고 역동적인 변화를 가지고 있어서 이 분야에 도전해 보고 싶었습니다.
      향후 연구계획 분자영상 데이터과 다양한 생물학적 정보를 융합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할 계획입니다
    •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성영훈 교수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성영훈 교수 유전자 조작 기법 개발

      연구분야 CRISPR-Cas system 기반 형질전환 동물모델 개발 및 유전자편집 응용연구
      현재 연구분야를
      선택한 이유
      생체 내에서 유전자가 생로병사에 미치는 영향 및 중요성 탐구
      향후 연구계획 형질전환 마모셋 개발을 통해 보다 임상에 가까운 질환모델 확립
    • 미생물학교실 박정규 교수 미생물학교실 박정규 교수 자가면역질환 EAE 모델 연구

      연구분야 - 항체치료제 개발
      - 자가면역질환의 면역조절요법 연구
      현재 연구분야를
      선택한 이유
      마모셋 EAE 모델에서 새로 개발된 항체치료제 효능 평가
      향후 연구계획 - 마모셋 RA 모델에서의 항체치료제 효능 평가
      - 마모셋 치매 모델에서 면역관련 인자 분석
    • 가톨릭대 윤준원 교수 가톨릭대 윤준원 교수 Micorbiome 연구
      연구분야 - 오믹스 기법을 이용한 질환 바이오마커 탐색 연구
      - 유전자변형 실험동물을 이용한 독성 민감도 모델 개발
      - 일반분화세포와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한 발암 기전 연구
      - 리포터 세포주를 이용한 in vitro 동물실험대체시험법 개발
      현재 연구분야를
      선택한 이유
      독성 및 질환동물모델 관련 연구경험을 바탕으로 마이크로바이옴, 전사체, 마이크로RNA 등 주요 질환에 대한 바이오마커 발굴 및 이를 활용한 동물모델 확립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, 바이오마커의 신뢰도와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설치류 뿐만 아니라 인체와 유사성이 높은 영장류 모델의 확립을 추진중임.
      향후 연구계획 - 독성 민감도 유전자 변형 실험동물을 활용한 비임상 독성시험 적용 연구
      - 형질전환 영장류모델 확립 및 주요 질환에 대한 기전 연구
    • 의학연구원 김종민 연구교수 의학연구원 김종민 연구교수 장기이식 및 당뇨모델 연구

      연구분야 - 영장류 및 중대동물 전임상 효능시험
      - 영장류 및 중대동물 수의학적 관리
      현재 연구분야를
      선택한 이유
      Macaca 영장류를 이용한 이종이식 당뇨모델 경험을 마모셋 원숭이에게 접목시키고자 함
      향후 연구계획 - 마모셋 당뇨모델 개발
      -세포치료제를 이용한 마모셋 당뇨모델에서 효능연구
    • 의생명동물자원연구센터 제정환 교수 의생명동물자원연구센터 제정환 교수 GLP 약리독성학적 모델 개발
      연구분야 - 의약품 및 의료기기의 안전성평가법 확립
      - 동물실험대체법을 활용한 안전성평가
      현재 연구분야를
      선택한 이유
      실험동물의학 및 독성학을 기초로 각종 의약품 및 의료기기의 위해성 평가를 통한 안전한 물질 개발
      향후 연구계획 - 형질전환동물모델 개발 및 안전성평가 활용
      - 동물실험대체법 개발